Computer Science/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1-4. 운영체제의 종류와 역사

둥둥 2022. 7. 15. 21:45
728x90

1. 유닉스와 리눅스

유닉스

1960년대에 만들어졌다. 

일관성과 단순함을 지향하는 운영체제

어셈블리어로 제작되었으나 1973년에 C언어로 소스코드를 다시 만들어 다른 기계로 이식하기 쉬워졌다.

개발 후 소스코드가 공개되었다.

 

BSD 유닉스

1978년 빌 조이와 척 헤일리가 소스코드를 조금씩 수정하여 만든 유닉스이다. 

기존의 유닉스와의 차이점은 다중 작업 지원과 네트워킹 소프트웨어의 개발이다.

BSD 유닉스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구축이 수월해졌으며 각종 연구소와 대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이후 AT&T에서 개발된 기존의 유닉스는 AT&T System V라고 명명하여 BSD계열과 나뉘게 되었다.

 

다양한 유닉스 버전의 개발
  • 디지털이큅먼트 : BSD기반의 울트릭스 Ultrix
  • 산타그루스오퍼레이션 & 마이크로소프트 : 제닉스 Xenix
  • 선마이크로시스템스 : BSD기반의 SunOS(훗날의 솔라리스 운영체제)
  • 카네기멜론대학교 : 마하 유닉스 (마이크로 구조 커널 유닉스, 이후 매킨토시에 적용)

 

GNU

리처드 스톨먼에 의해 창설되었다.

소프트웨어를 돈 주고 사지 말고 누구나 자유롭게 실행,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게 하자고 주장했는데, 이러한 정신에 입각해서 만든 소프트웨어에 주어진 라이선스를 GPL(General Public Licence)라고 부른다.

'copyright'의 반대 개념으로 'copyleft'를 내세웠다.

1985년 GNU 프로젝트를 철학적, 법률적, 금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자선단체인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Free Software Foundation, FSF)을 설립했다. 

 

리눅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에 의해 개발된 운영체제로, PC에서 동작하는 유닉스 호환 커널을 작성하여 GPL로 배포하고 소스코드도 공개했다.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많은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개발 및 수정한 덕분에 안정적이다.

PC, 워크스테이션, 대형 컴퓨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운영체제다.

 


2. 매킨토시와 스티브 잡스

애플Ⅱ

1976년 스티브 잡스는 스티브 워즈니악, 로널드 웨인과 함께 애플을 창업하고 , 1977년 애플Ⅱ라는 개인용 컴퓨터를 대중화했다.

애플Ⅱ는 키보드, 메인보드, 전원장치가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모델로, 내부에 8개의 확장 슬롯이 있어 다양한 주변장치와 연결할 수 있었다.

중앙처리장치로 모토롤라 MOS 6500번대 CPU(8bit)를 사용하고 운영체제는 롬에 고정된 형태였고, 초기에는 카세트테이프가 저장장치로 쓰였으나 이후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로 교체되었다.

내장된 애플 소프트 베이직 언어로 사용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었으며, 베이직 외에도 대형 컴퓨터에서만 사용 가능했던 포트란 FORTRAN, 코볼 COBOL과 같은 언어도 사용 가능했다. 

애플Ⅱ가 인기를 끌면서 스프레드 시트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워드프로세서 등 다양한 사무용, 교육용 소프트웨어가 출시되었다.

 

스티브 잡스의 업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잡스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보다도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개발 기술에 집중했다.

이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보다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경험에 중심을 두는 기술을 UX(User eXperience)라고 부른다.

Mac Os에 처음으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를 도입했으며, Mac OS는 계속 업그레이드되어 현재까지도 사용된다.

 

포화상태인 PC 시장에서 다른 쪽으로 눈을 돌려 2001년 아이팟 ipod을 출시하여 음악 산업 전체를 뒤집었다.

MP3플레이어의 종주국과 특허는 한국에서 가지고 있었으나 좋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아이튠즈 iTunes라는 편한 음악 유통 구조로 MP3 시장을 장악했다.

 

기존의 스마트폰은 터치스크린에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대도 한 곳만 인식했지만, 아이폰 iPhone은 세계 최초로 멀티터치스크린을 장착해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었다.


3. 윈도우 운영체제

MS-DOS

1983년 IBM 이 IBM XT컴퓨터를 출시하면서 플로피디스크에 운영체제를 담아 보급하였는데, 이 운영체제가 MS-DOS이다. 

IBM은 IBM XT의 설계를 공개하고 생산 및 판매를 허용하는 오픈 정책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IBM XT호환 컴퓨터가 대량으로 공급되기 시작했다. 

인텔은 IBM XT의 CPU를 납품하던 회사였다.

 

윈도우

역사가 짧고 운영체제 제작의 참여자 수도 한정되어 안정화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

무겁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빠른 CPU와 큰 메모리를 요구했기 때문에 과거에는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PC를 업그레이드해야 했다.


4. 모바일 운영체제

스마트폰

애플의 아이폰이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하자 다른 회사들도 그에 대항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개발하는데 주력했다.

아이폰의 경우 자사가 개발한 ios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회사들은 마땅한 운영체제가 없었을뿐더러 자체 개발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었다.

구글은 이를 예견해 모바일용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를 개발했다.

 

안드로이드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구글에서 제작했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의 운영체제이며, 운영체제를 비롯해 미들웨어와 중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GNU의 리눅스 커널을 사용해 제작되었기 때문에 GPL을 따른다. 

따라서 누구나 공짜로 사용할 수 있고, 새로운 버전과 동시에 소스코드 또한 공개하기 때문에 누구나 수정, 배포할 수 있다.

 

구글의 경우 안드로이드로 얻는 수입이 별로 없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안드로이드 기능 중 일부가 마이크로소프트의 특허를 침해하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수익을 거두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