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avascirpt
- jquery
- querySelector
- eslint prettier
- css
- vscode
- display
- js
- swiperOption
- 인덱스
- swiper
- error
- index
- CORS
- loop:true
- archiver
- watchOverflow
- prettier
- activeIndex
- eslint
- vue2
- slidePerView
- classlist
- slideChange
- JavaScript
- Vue
- centerSlides
- slidePerGroup
- v-bind
- realIndex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하는 둥둥
[ Springboot ] Springboot 동작원리 : 톰켓이란 무엇인가요? 본문
728x90
톰켓
http : 소켓을 이용해서 만들어짐
프로그램을 만들때 소켓을 불러서 사용하는것을 시스템콜이라고 함
* 시스템콜 : https://fjvbn2003.tistory.com/306
[운영체제] 시스템 콜 (System Call)
본 포스팅의 내용은 Operating System Concepts 10th, Operating Systems Three Easy Pieces를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오늘은 운영체제를 배우다 보면 많이 접하게 되는 시스템 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
fjvbn2003.tistory.com
- 톰켓 VS 웹서버
톰켓 | 웹서버 | |
정의 | ![]() |
![]() |
아파치는 자바코드를 이해하지 못함. JSP나 자바코드를 요청했을 경우 응답하지 못함 → 그래서 톰캣을 이용 1. 아파치가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파일에 대한 요청이 오면 제어권을 톰켓에게 넘김 2. 톰켓은 .JSP파일안에 있는 모든 자바파일을 컴파일 3. 컴파일이 끝나면 컴파일된 데이터를 .html에 덮어씌움 => tomcat의 하는 일 : 자바코드를 컴파일하고 html문서로 만들어줌 4. 파일을 아파치에 돌려줌 5. 아파치는 해당 html파일을 응답해줌 ※ 아파치 : 요청한 파일을 응답 ※ 톰켓 : 요청한 파일중 자바코드가 요청이되면 그것을 컴파일해서 html파일로 번역해서 돌려줌 |
HTTP웹서버는 갑 즉, 을이 필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 을이 갑에게 request(요청) * request할때는 내 컴퓨터의 위치를 알아야해서 ip주소가 필요함 어떠한 데이터가 필요한지 명시해줘야 하기때문에 이것들을 url로 만듬 * url : 자원을 요청하는 주소, 자원의 위치를 요청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게 해줌 ( l : location ) → 갑은 을에게 응답(response) 을이 요청한 ip주소를 토대로 (request시 자기가 누군지를 밝힘) response해줌 * http에서 갑은 을의 주소를 모름(알필요가 없음) => 갑은 을이 요청하지 않았을때 응답할수 없음 을의 주소를 알기위해서는 socket이 필요함 socket은 을이 연결을 하는순간 response를 해주지만 연결이 계속 지속되어있어야 함(socket통신 = 연결 지속되어있는 통신) but. http통신은 요청시 응답만 해주는 구조 응답은 단순하게 html문서 or 특정자원을 응답해줌 (이때 자원은 static 자원 : 정적인 자원) * static 자원 : 정적인 자원으로 바뀌지 않음 https://dololak.tistory.com/78 |
요청시 웹 브라우저 이용시 JSP파일을 요청했을때 .JSP파일을 찾아서 돌려주기만 한다면 웹서버
웹 브라우저는 html, javaScript, CSS, avi와 같은 정적인 것들만 이해할 수 있기때문에 요청한 데이터가 html파일이면 웹 브라우저에서 잘 열릴것
but, jsp 파일을 요청하면 웹 브라우저가 jsp파일을 이해하지 못하기때문에 깨짐
728x90
'Backend > 스프링부트 개념정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boot ] Springboot 동작원리 : 웹 배포서술자(web.xml)에 대해서 알려줘요! (0) | 2022.02.22 |
---|---|
[ Springboot ] Springboot 동작원리 : 서블릿 객체의 생명주기가 궁금해요! (0) | 2022.02.18 |
[ Springboot ] Springboot 동작원리 : HTTP가 무엇일까요? (0) | 2022.02.15 |
[ Springboot ] JPA개념잡기 : OOP관점에서 모델링이란 무엇일까요? (0) | 2022.02.15 |
[ Springboot ] JPA개념잡기 : 영속성 컨텍스트란 무엇인가요?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