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하는 둥둥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6-2. 교착 상태 필요 조건 본문

Computer Science/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6-2. 교착 상태 필요 조건

둥둥 2022. 8. 11. 19:46
728x90

교착 상태 필요 조건

교착 상태는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비선점(non-preemption),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원형 대기(circular wait)를 모두 충족해야 발생한다. 이 중 단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으면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 상호 배제 : 한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은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할 수 없는 배타적인 자원이어야 한다. 배타적인 자원은 임계구역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다른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배타적인 자원을 사용하면 교착 상태가 발생한다.
  • 비선점 : 한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은 중간에 다른 프로세스가 빼앗을 수 없는 비선점 자원이어야 한다. 어떤 자원을 빼앗을 수 있다면 시간 간격을 두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하지만 자원을 빼앗을 수 없으면 공유할 수도 없으므로 교착 상태가 발생한다.
  • 점유와 대기 :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을 할당받은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여야 한다. 다른 프로세스의 작업 진행을 방해하는 교착 상태가 발생하려면 다른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또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 원형 대기 :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 간의 관계가 원을 이루어야 한다.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들이 서로 방해하는 방향이 원을 이루면 서로 양보하지 않기 때문에 교착 상태에 빠진다.

 

교착 상태와 아사 현상의 차이
  • 아사 현상 : 정책상 잘못이나 오류로 인해 특정 프로세스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말하며 에이징으로 해결할 수 있다.
  • 교착 상태 : 아사 현상과 달리 정책상 잘못이나 오류가 없어도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교착 상태는 에이징으로 해결할 수 없고 정책을 바꾸는 것으로 막을 수도 없다. 교착 상태는 아사 현상보다 처리가 복잡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