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하는 둥둥

파일 (File) 본문

Computer Science/Ect

파일 (File)

둥둥 2022. 11. 19. 22:42
728x90

파일 File

  • 의미있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름을 가지고 있는 저장 장치상의 논리적인 단위
  • 바이너리 파일(binary file)과 텍스트 파일(text file) 두 종류로 나뉜다.

바이너리 파일 binary file

  •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를 목적으로 한 0과 1의 이진 형식으로 인코딩 된 파일
  • 프로그램이 이 파일의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는 데이터의 어떠한 변환도 일어나지 않는다.
  • 엄밀히 따지면, 모든 data 혹은 파일은 binary data이다.
    • 모든 텍스트 파일은 바이너리 파일이다.
    • 하지만 모든 바이너리 파일이 텍스트 파일인 것은 아니다.

텍스트 파일 text file

  • 사람이 알아 볼 수 있는 문자열로 이루어진 파일
  • 프로그램이 이 파일의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는 포맷 형식에 따라 데이터의 변환이 일어난다.

텍스트 파일을 바이너리로 읽고 쓸 경우에는 Sting을 바이너리로 써야 하기때문에 encode해 저장하고, 이 파일을 바이너리로 읽어서 출력 시 텍스트가 아닌 이상한 숫자들(바이너리 데이터)로 나열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다.

바이너리 데이터를 decoding해서 출력해보면 정상적으로 String으로 출력되는것을 알 수 있다.


References.

http://www.tcpschool.com/c/c_io_file#:~:text=%EB%B0%94%EC%9D%B4%EB%84%88%EB%A6%AC%20%ED%8C%8C%EC%9D%BC%EC%9D%80%20%EB%8D%B0%EC%9D%B4%ED%84%B0%EC%9D%98,%EC%9D%B4%EB%A3%A8%EC%96%B4%EC%A7%84%20%ED%8C%8C%EC%9D%BC%EC%9D%84%20%EA%B0%80%EB%A6%AC%ED%82%B5%EB%8B%88%EB%8B%A4.

728x90

'Computer Science > 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뮬레이터 VS 시뮬레이터  (0) 2023.01.15
SVN  (0) 2022.11.19
스테이징 서버  (0) 2022.11.09
도메인 (domain)  (0) 2022.11.09
IPIN, CI, DI  (0) 2022.10.28